안녕하세요 Dr.녹입니다 :)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불규칙한 식생활때문에 불러 일으키는 역류성 식도염,
오늘은 그 역류성 식도염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속쓰림과 산 역류가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며 갑작스럽게 , 점차적으로 신트림을 하거나
입안으로 신물이 넘어오거나 음식물을 삼키기 힘들고 통증이 있으며
가슴부위에 타는듯한 느낌이 나는 질환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무엇이며
치료는 어떤방식으로 진행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서 식도손상까지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위와 식도 사이에는 괄약근이 존재하고 있어 위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지 않게끔
막아 주는 조임쇠 역할을 하는데 정상적인 경우에는 이 괄약근의 역할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괄약근의 약화로 인해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질환입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심한것은
비만과 흡연, 음주 입니다. 남자, 고령, 흡연, 비만, 식도열공탈장등의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복부비만이 역류성식도염의 고 위험인자로 보고되어있습니다. 고지혈증과 고혈압, 대사증후군이
역류성 식도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아시아의 식습관과 생활양식이 서구화되어지며
비만인구 증가가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수치를 높히는데에 한몫하고 있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 치료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는 생활습관의 변화로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약물치료는 제산제,
위산분비 억제제, 장운동 촉진제 등의 약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약물 치료는 수개월간 인내심
있게 장기적으로 봐야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위산 억제치료에도 불구하고 역류 증상이
계속될때는 식도 협착이나 바레트 식도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한 경우가 있습니다. 합병증이 있는경우와
약물 부작용에 대한 부작용이 있는경우 수술적 치료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정상체중을 유지하고 비만인 경우 체중을 줄이도록
해야합니다. 규칙적인 식사로 과식을 피하며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홍차, 박하, 초콜릿을
삼가하는 것이 좋고 단백질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전 2시간 이내에는 음식을
먹지 않으며 반듯한 자세로 식사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천천히 꼭꼭 씹어먹으며 식사중간에
물을 마시는 것을 금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서적인 스트레스 해소와 더불어 규칙적인 식생활 개선이야 말로 모든 질환의 예방이 되는 방책입니다.
이렇게 역류성 식도염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저희 녹십초에서는 한방, 외래 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더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해서 Dr.녹은 오늘도 더 노력하겠습니다.
'녹십초 : 건강창고 > Dr.녹 건강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과 트랜스지방. (0) | 2015.10.29 |
---|---|
혈관건강에 좋은 음식 (0) | 2015.10.23 |
A형 간염 자가진단 (0) | 2015.10.21 |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방법 (0) | 2015.10.20 |
호흡기질환 자가진단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