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십초 : 건강창고/Dr.녹 건강 지식IN

근막통이란? 근막통 해소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Dr.녹이에요~ 오늘은 근망통에 관련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근막통은 일종의 근육통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근육에 생기는 통증을 의마해요 ~

 

다양한 질병이나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인데요, 가장 흔한 원인은 해당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에요

하지만 감염성 질환을 비롯한 수없이 많은 질환이나 장애에서도 근육통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함꼐 발생하는

다른 증상이나 증후들을 참고해서 원인을 밝혀야 해요 ~

그럼 이러한 근막통 해소하는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

 

 

 

 

 

 

근막통 치료방법

 

근막통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약물치료와 비약물 치료로 나눠져요

통증에 대한 약물치료에는 근이완제 및 진통 소염제가 쓰이고, 통증이 만성화될 때는 항우울제 및 항불안제 등의

약물이 처방될 수 있어요~ 그리고 교감신경 차단술 등의 국소적 약물치료가 가능해요

 

 

 

 

 

 

비약물적 치료로는 근막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은 근전도를 이용한 생체 바이오 피드백, 인지행동치료,

심폐기능 강화 운동 등이 있어요, 근전도란 근육의 활동 전위를 기록할 수 있는 검사로 근육을 이완시키려고 할 때

실제로 이완되었는지, 활동 전위가 사라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

 

이를 이용해 근육의 이완을 근전도적으로 확인하면서 이완시키는 것이 근전도를 이용한 바이오 피드백이에요

 

 

 

 

 

 

인지 행동 치료는 환자의 부정적인 왜곡된 사고를 파악해 재구성하도록 하는 치료법으로 근막통을 유발하는 생각을

없애도록 하는 방법이에요~ 심폐 기능 강화 운동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유산소 운동을 말하죠

 

이외에도 경피적 신경 자극술, 국소 주사치료와 같은 침습적 치료법과 열 치료, 간섭전류, 등척성 후 이완요법,

마사지와 같은 비침습적 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어요 ~

 

간섭전류는 다른 두 주파수의 전류를 생체 내에서 만나도록 하여 열을 내는 방식으로 피부 자극 강도를 줄이면서

원하는 깊이에 조금 더 특이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요

 

 

 

 

 

 

통증의 발생 시기에 따라서 다른 치료방법이 적용되기도 하는데 급성기에는 스트레칭과 자세에 대한 운동을 집에서

시행하고, 근육의 긴장을 주는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다른 원인들에 대해서도 평가를 해야 되요~

 

아급성기에는 금성기적 치료 외에도 약물 치료와 앞에서 언급한 주사 치료 및 물리 치료를 병행하기도 해요

통증에서 아급성기는 통증이 발생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통증이 갓 발생했을 때 만큼 극심한 통증은 없지만,

아직 통증이 있을 때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대략 통증 발생 후 1달 이상 지나면 아급성기로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