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십초 : 건강창고/Dr.녹 건강 지식IN

에볼라 출혈열 : 에볼라 바이러스 원인과 증상

 

 

안녕하세요^^, Dr.녹이에요 ~ 오늘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서 살펴볼까 해요~

최근 에볼라 바이러스 때문에 많은 분들이 걱정하고 감염이 되지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으셨죠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높은 급성 열성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요~

 

주로 아프리카에서 기원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출혈열은 아프리카 풍투병으로 알려져 있어요

에볼라 바이러스 출혈열 유행은 대개의 경우 한명의 초발 환자가 자연환경에서 숙주로부터 바이러스를 옮아온 뒤

친밀한 접촉에 의해 주위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해 발생해요

 

하지만 이 질병의 숙주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죠. 그렇다면 에볼라 출혈열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에볼라 출혈열 증상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약 7~10일 간의 잠복기 후, 갑자기 심한 두통, 발열, 근육통, 오심, 구토가 나타나요

발열이 지속되면서 심한 설사가 발생하고 대개는 기침을 동반한 가슴통증도 발생해요

전신에 기운이 없어지고, 혈압과 의식이 떨어지게 되기도 하죠. 발병하고 5~7일째 대개 구진같은 피부 발진이

나타나고, 이후에 피부가 벗겨져요

 

이 시기쯤부터 피부와 점막에서 출혈경향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외에 얼굴과 목, 고환의 부종, 간종대, 안구충혈, 인후통 등도 나타날 수 있어요

 

회복하는 경우에는 발병 10~12일 후부터 열이 내리고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해열되었다가도 다시 발열이

재발하는 경우가 있어요 ~

 

 

 

 

 

 

에볼라 출혈열 치료방법은 ?

 

현재까지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치료가 존재하지 않아요, 쇼크 및 혈량 저하, 출혈경향에 대한 보존적 치료밖에

할 수 없죠.. 저혈압과 출혈에 의한 다발성 자기손상이 발생해 발병 후부터 7~14일 경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요

 

회복하는 경우 발병 10~12일 후부터 열이 내리고 증상이 호전될 수 있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에볼라 출혈열의 발병지역인 아프리카에서는 에볼라 출혈열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여러방법들이 시도되었어요

그렇지만 아직까지 자연숙주 및 감염경로에 대해 밝혀진바가 없기 때문에 초기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어려워요

 

에볼라 출혈열 환자가 발견된 이후, 추가적인 전염을 예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중요하기에, 환자를 격리를

통해 환자의 혈액 및 분비물이 타인에게 접촉되는 것을 막는 것이에요

 

 

 

 

 

 

따라서 유행지역의 의료기간은 에볼라 출혈열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체계 및 환자 발생시에 환자를 격리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어야 하고, 의료진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장갑 및 가운, 안경등의 장비를 구비해야되요

 

 

이렇게 위험한 에볼라 출혈열은 감염경로가 밝혀진바가 없기에 특별한 생활수칙도 없어요

또한, 식이요법과 같은 특별한 음식에 관한 정보도 밝혀진바가 없죠

 

가장 좋은 방법은 발병지역에 가지 않는것이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