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십초 : 건강창고/Dr.녹 건강 지식IN

심혈관질환과 폭염의 관계

 

 

안녕하세요 Dr.녹 입니다. :)

 

요즘같이 한 여름철 뜨거운 날들이 지속되면서 도내에서 더위로 목숨을 잃는 사례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폭염은 다른 기상현상과는 다르게 예측은 하기 쉬우나 이로 인한 피해는 시작 한 후 이틀부터 발생하고

피해장소가 다양해지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노환을 앓고 있는 노인들이나 음주관련 질환자,

만성 혈관,혈압관련자들에 대한 피해가 가장 크다고 합니다.

 

 

 

- 심혈관질환

 

일반적으로 심혈관질환 즉, 혈관계 질환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추운날씨로 인해

혈관이 수축되어 혈압이 상승하게 되고 급격한 기온변화로 혈관내 저항증가와 심장근육의 산소소모량이 많아 무리가

많이 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름철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외부 환경과 신체간 급격한 온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며, 폭염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몸에서는 체온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 몸의 반응

 

일단 땀이라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땀이 많이 흘리게 되면 혈액이 농축되어 혈전이 생기기 쉬우며 혈전이 관상동맥을

막으면 심근경색이, 뇌혈관을 막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뇌졸중이 생기게 되어집니다.

 

 

 

- 폭염

 

폭염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협심증 등 동맥경화증 등의 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으며

폭염주의보가 발효되면 신경을 더 써주셔야 합니다. 고온의 환경에 처하게 되면 땀을 배출하게 되며, 혈액이 모세혈관에

집중해서 가게 되어집니다. 피부표면의 순환혈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박수가 높아지게 되면 심장에 무리가 가고

장기나 근육으로 가는 혈액이 피부로 몰리게 되며 또한번 무리가 가게 되어집니다.

 

 

 

이처럼 폭염과 심장질환과의 관계는 생각보다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일수록 예방이나, 방비책을 세우고

심장계질환을 앓고 계신 분들은 왠만하면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한여름철 고온의 날씨에서

야외활동을 하시면 피부쪽으로 혈액이 몰리게 되어지고 이 혈액은 장기나 근육쪽으로 가야되는데 피부쪽으로 갔기

때문에 심장에서는 더 많은 활동을 하게 되어지고 이는 무리를 유발하게 되어지고 심혈관질환을 다시한번 일으킬수

있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수분섭취와 적당한 시간대의 야외활동은 건강에 이롭지만 항상 적당히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날씨가 너무 더울때는 야외활동을 자제하며 심혈관질환이나 당뇨 등 성인병을 가지고 계신분들은 심장에

무리가 안가는 정도로 야외활동을 권장해드립니다. 모든 만병의 질환이 그렇듯이, 질환을 앓고나서 치료를

하는것보다 가장 좋은것은 예방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을 위해서 저희 녹십초는 한방,외래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더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해서 Dr.녹은 더 노력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