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십초 : 건강창고/Dr.녹 건강 지식IN

어지러움증에 대한 궁금증, 어지러움증 Q&A

 

 

안녕하세요 Dr.녹입니다. :)

 

보편적으로 넘어지지 않고 걸어다니고 뛰어다니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걷고 뛰는 원리에 복잡한 신경계가 작용한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고 노환이 찾아올수록 걷고 뛰는 동작이 무척이나 어렵다는 것을 깨달고

왜 당연하던것이 이렇게 어려운지 그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됩니다. 어지러움증이 생기는 이유와

그 어지러움증이 어떤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인지 오늘 이시간에 알아보고자 합니다.

 

 

 

- 어지러움증의 원인 -

 

어지러움증의 원인으로는 이비인후과 질환인 귀의 전정기관과 전정신경의 이상에 의한 경우가

약 35~65% 차지하고 있으며 정신과적 원인에 의한 경우가 10~20%의 원인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귀의 전정기관과 전정신경의 이상이 대부분의 원인을 차지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 외에는 드물지만 중추성 병변에 의한 경우가 2~10%, 심혈관계이상에 의한 경우가 5%등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보통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많습니다.

 

 

 

 

 

그리고 간혹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스인 경우

이비인후과, 신경과, 정신과, 내과, 안과 등 많은 진료과가 협진하여 그 원인을 찾아내야 합니다.

 

특히나 노환이 오는 70대 이상의 노인이나 심혈관계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여러가지 원인이 혼합돼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므로 이를 더 주의해야 합니다.

 

 

 

 

- 어지러움증 Q&A -

 

어지럽다는 말은 흔히들 하지만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 또한 차이가 있습니다.

귀 안의 평형기관을 포함한 전정계의 이상에 의한 어지러움증 같은 경우에는 자기의 몸이나 주변환경이

빙빙도는 느낌이 들거나 좌우나 상하로 움직이는 느낌이 듭니다. 만약 전정기관이 아닌 곳이 원인으로인한

어지러움증인 경우 정신이 멍하거나, 균형을 잡기 어렵고, 정신이 아득해지고 눈앞이 하얗게 되는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게 되어집니다.

 

 

 


- 어지러움증 진단 -

 

어지러움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식의 증상을 보이며 어지러움증이

유발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과거 어떠한 질환을 겪고 있었는지,

가족들은 어떠한 병을 앓고 있었는지에 대한 가족력 조사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증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 단순한 질환으로 넘길 수 있지만 꾸준한 관심으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너무나 많은 원인이 존재하는 어지러움증, 오늘은 Q&A형식으로 어지러움증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서적인 스트레스해소와 균형잡힌 식생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합병증으로 발전하기 전에 건강한 모습을 되찾으시는것을

적극 권장해 드리고 있습니다.

 

 

저희 녹십초에서는 이런 분들을 위해서 한방, 외래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더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해서 노력하는 Dr.녹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