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Dr.녹입니다. :)
추운 날씨에 나도 모르게 절로 움츠러들게 되는 겨울!!
뭘 해도 금방 지치고 힘이 드는 이 겨울을 어떻게 하면 생기 있고
활기차게 보낼 수 있을까요?
그 정답은 바로 꾸준히 계속 해서 움직여 주시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매 번 밖에 나가서 운동하기는 너무 춥고!
그래서 오늘 준비 한 이야기는 여러분들께서 밖에 나가지 않고
실내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가벼운 스트레칭입니다.
그럼 실내에서는 어떤 스트레칭을 어떤 순서로 하는 것이 좋을지
다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동작은 왼 쪽 팔을 오른 쪽으로 당기면서 시선은 왼쪽을 바라봐 주시면 됩니다.
이 동작은 목, 어깨, 등, 팔 등을 자극 해 주는 스트레칭으로 장시간
책상에 앉아 있다보면 몸이 뻐근 할 때 해 주면 좋은 동작입니다.
웨이트 운동 시 웜업 동작으로도 취하는 동작입니다.
그 다음은 옆구리 운동입니다. 말 그대로 옆구리를 자극 해주는 스트레칭으로
옆구리 뿐만 아니라 허리와 골반에도 도움이 되는 동작입니다.
사실 아무것도 아닌 동작처럼 보이실수도 있지만 옆구리 운동을 제대로 된
자세로 동작을 취한다면 10회 정도 즘에 땀이 나는 걸 체험하시게 될 것입니다.
다음은 상체 비틀기 입니다. 이 동작은 어깨와 등, 허리를
자극하는 동작이기도 하지만 하체에도 자극을 주기 때문에
전신 스트레칭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서서 하는 마지막 동작 역시 전신 스트레칭입니다.
위에서 함께 살펴 보신 네 가지의 동작을 한 동작 별로 8회씩
총 3 세트를 해 주신다면 여러분 스스로의 몸이 한결 가벼워 지는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 다음은 앉아서 하는 스트레칭입니다. 거실에서 TV를 보면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동작으로 어떤 동작들이 있는지 하나씩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편하게 앉아서 두 다리를 편 상태로 한 쪽 다리를 반대편 다리로
교차 시킨 후 상체를 반대로 비틀어 주는 동작입니다.
해당 동작은 척추와 골반을 바로 잡아 주는 동작으로
이 역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지만
하루 종이 서서 일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동작입니다.
이 동작은 너무 잘 아시는 동작일 겁니다. 스트레칭 하면 가장 먼저
떠 오르는 자세 상체 숙이기 입니다. 이 자세 역시 상체와 하체 모두
자극을 주는 전신 스트레칭으로 처음엔 허벅지 뒷 부분이 당기고
앞으로도 많이 못 숙일 수 있지만 꾸준하게 하시다 보면 어느샌가
가슴과 배가 허벅지에 닿는 것을 체험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동작은 두 다리를 넓게 벌려 준 상태에서 상체를 숙여주는
동작으로 방금 위에서 봤던 상체 숙이기 동작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동작입니다.
이 동작 시 주의 해야 할 부분은 몸을 앞으로 숙일 때 반대쪽 다리가
떠서는 안되고 엉덩이 역시 바닥에 계속 붙어 있어야 합니다.
뭐든지 시작을 했으면 마무리 역시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것은 스트레칭에도 적용이 되는 사항인데 위에서 보셨던
일곱 가지 서서, 앉아서 하는 동작을 하고 나면
'아고 아고 힘들다' 라든지, '아 빡세' 라고 하시면서
앉은 상태에서 바로 누우실 겁니다.
하지만 바로 누울 경우 스트레칭을 하면서 몸 밖으로 노폐물이나 독소,
특히 젖산 같은 것들이 배출되려 하다가 나오지 않을 수 있으니
마지막 스트레칭까지 해 주시면서 몸을 풀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닥터 녹과 함께 살펴 본 실내에서도 할 수 있는 가벼운 스트레칭 동작들
잘 보셨습니까? 사실 누구나 다 쉽게 할 수 있는 동작들이지만 과연 이게
운동이 되겠어?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 드린
아홉 개 동작을 꾸준하게 딱 한 달만 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마 여러분의 몸은 그 어느때 보다 활기차고 생기있는 상태를
유지하시게 될 것입니다. 그럼 오늘부터 시작해 볼까요?
닥터 녹이었습니다!
'녹십초 : 건강창고 > Dr.녹 건강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력 강화 어떻게 하면 될까요? (0) | 2016.02.16 |
---|---|
고지혈증에 피해야할 음식은? (0) | 2016.01.05 |
뇌졸중의 종류와 원인 (0) | 2015.12.09 |
피로회복은 간 건강을 지키는 것이 시작이다 (0) | 2015.12.07 |
12월 제철음식 제대로 알고 먹자 (0) | 2015.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