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r.녹입니다 :)
추석명절이 되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의도치 않게
폭식을 하시는 분들을 간혹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무리한 체중증가와
다이어트를 병행하게 되어지는데, 이렇게 하는 단기간 다이어트는 큰 질환을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예방책으로 음식을 가려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쁜것을 피하는 것도 좋지만 좋은 음식을 찾아먹는것도 중요하며 오늘은
그러한 좋은 음식중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의 패턴이나 생활습관이 잘 관리 됐던 사람들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이상신호를 느끼지 못하겠지만 관리가 잘 되지 않는 분들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건강의 이상신호를 느끼게 됩니다. 증세에 따라 무심하게 지나칠때도 있고
영양제와 효소를 통해서 건강을 챙기려고 하지만 특정 영양제나 효소를 과도하게
섭취를 하게 되면 영양 균형이 깨져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 오색오미 *
여기서 강조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건강하게 살기위해서 어떠한 음식들을
먹어야 될까. 건강한 식생활은 '오색오미' 식품을 골고루 먹는 것입니다.
오색오미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건강한 식생활이며 오행은 '목화토금수'를 뜻하며
이는 오장의 기운과 같다고 하여 목은 간장, 화는 심장, 토는 비장, 금은 폐, 수는 신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음식의 오색은 청,적,황,백,흑이며 음식의 오미는 매운맛,단맛,신맛,짠맛,쓴맛 입니다.
인체의 장부나 구성성분들은 오행의 기운을 받아 생성됐기 때문에 땅에서 나는 음식들도
오행에 해당하는 것을 골고루 섭취해야 건강할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 장기별 좋은 음식
※ 간 - 목 - 녹색 - 신맛
간은 목에 해당하는 장기로 봄에 아지랑이처럼 피어오르는 봄기운을 가져서 목에 비유됩니다.
신맛과 녹색 식품은 간,담,근육으로 연결되고 신맛은 수축과 수렴작용을 합니다. 위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는 좋지 않으며 화를 잘내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는 좋습니다.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미나리,시금치,쑥갓,케일,시래기,다슬기 등이 있습니다.
※ 심장 - 화 - 붉은색 - 쓴맛
심장은 오행에서 화에 속하며 여름에 비유됩니다. 쓴맛과 붉은색이 연관이 되며
심장,소장,혀 등과 연결되어 있고 쓴맛은 심장의 기운을 높이며 소염작용을합니다.
하지만 과하게 즐기면 폐를 상하게 할 수 있고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토마토, 사과, 포도, 붉은 고추,
딸기, 감, 자몽, 대추, 구기자, 오미자 등이 있습니다.
※ 위 - 토 - 노란색 - 단맛
위장은 만물을 소생시키는 대지에 비윻새 토에 성질에 비유됩니다. 위장은 단맛을 받아들이며
근육 이완과 안정작용을 도와주고 비,위,입 등으로 연결되어집니다. 단맛이 지나치면
신장기능이 약화되어집니다. 황색 음식으로는 감귤, 오렌지, 망고, 당근, 파인애플, 감등이 속합니다.
※ 폐 - 금 - 하얀색 - 매운맛
폐는 쇠의 기운인 금에 해당되며 서늘한 가을의 기운을 가졌고 폐,대장,코로 연결되어집니다.
받아들이는 맛은 매운맛으로 폐나 기관지가 약한사람에게 도움을 주며 과도하면 간과 쓸개에 좋지않습니다.
백색 채소와 감자 그리고 양파,양배추,도라지,마늘,무,배,연근,고구마 등이 식품입니다.
※ 신장 - 수- 검은색 - 짠맛
신장은 차가운 물과 겨울 기운인 수에 비유되며 신장,방광,귀,뼈와 연관이 되어집니다.
짠맛은 신장의 기운을 높이며 과도하면 심장에 좋지 않습니다.
대표식품으로는 검은콩, 흑미, 깨 등에 풍부하며 목이버섯, 김, 오골계, 흑염소, 블루베리가 포함되어집니다.
다가오는 추석 장기별 좋은 음식을 통해 약간씩은 가려서 드시는 것이 좋으나
전반적인 균형밸런스를 맞춘 식사를 하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저희 녹십초에서는 건강의 이상신호로 몸이 안좋으신 분들을 위해서 한방,외래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더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해서 Dr.녹은 오늘도 노력하겠습니다.
'녹십초 : 건강창고 > Dr.녹 건강 지식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슘 효능, 칼슘 많은 음식 (0) | 2015.09.30 |
---|---|
심혈관질환 예방 생활수칙. (0) | 2015.09.26 |
명절 우울증 진단. (0) | 2015.09.23 |
면역력과 장건강 (0) | 2015.09.18 |
자외선과 피부의 상관관계 (0) | 2015.09.17 |